명절 차례상 `5열 7원칙` 기억하자설 차례상엔 밥 대신 떡국 올려…상차림은 열마다 홀수로 배열 그래도 대동소이하다. 설 차례상이 일반 제사상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제삿밥 대신 떡국을 올린다는 점이다. 이 점을 제외하면 제사상 차리는 원칙을 준용해도 된다.차례상은 북쪽에 둔다. 젊은 후손이라면 집안의 어른이 차례 때 따르는'5열 7원칙'을 기억해 두면 좋다. 7원칙은 4자의 한자로 표현된다. 생선과 고기의 위치를 설명한 어동육서(魚東肉西)에 따라 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에 둔다. 머리와 꼬리가 구별되는 음식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둔다. 두동미서(頭東尾西)라 한다. 날것과 익힌 것에 따른 자리 배치는 생동숙서(生東熟西)를 따른다. 김치는 동쪽, 익힌 나물은 서쪽에 둔다. 밥과 국의 위치를 표현한 좌반우갱(左飯右羹)에 따르면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둔다. 서쪽부터 떡국 잔반(술잔과 받침대) 시저(숟가락과 젓가락) 잔반 떡국을 놓는다. 2열에는 어동육서에 따라 국수 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채소 구운 것) 어적(생선 구운 것) 고물 떡을 놓는다. 이때 두동미서 원칙에 따라 생선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3열에는 주로 탕을 놓는다. 탕의 개수는 1, 3, 5와 같은 홀수로 맞춰야 한다. 고기 채소 생선을 끓인 육탕 소탕 어탕을 놓는다. 서쪽 첫 번째에는 북어, 고기, 오징어, 문어 중 한 가지를 말린 포로 놓는다. 이어 숙채, 청장(간장), 침채(흰 나박김치), 식혜 건더기를 놓는다. 제기에 과일을 올릴 때는 조상을 위해 정성으로 다듬어 놓는다는 의미로 홀수 개를 놓는다. 과일의 위아래는 깎아 놓는다. 향로와 향은 차례상 앞에 마련한 작은 상 위에 올려놓는다. 퇴주잔은 상 아래에 놓는다. 잉어처럼 비늘이 있는 생선도 올리지 않는다. 국물 있는 음식은 건지만 쓰고,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 |
출처 : 사랑과 평화의 샘 글쓴이 : jeosahp
'커피 타임 > 나의 커피한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늘 하루가 선물 입니다 (0) | 2012.03.19 |
---|---|
[스크랩] 마음에 무엇을 담겠습니까? (0) | 2012.03.15 |
GV2마정란선생님 (0) | 2012.02.07 |
[스크랩]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말라 (0) | 2012.02.02 |
[스크랩] 머슴의 본명 (0) | 2012.02.02 |